OUR HISTORY


2002 - 2005

 2002  
주식회사 정진넥스텍 설립

2003  

ISO 9001, 14001 인증취득

2004 

SAMSUNG' 협력사 등록

2005 

SV0.4T LF 국내최초 개발





2006 - 2010

2008 
본사이전 (오산 가장산업단지)
금형가공실 설치 운영
LG 협력사 등록

‌2009

평택 2공장 설립
JNP설립
(도금 관계사)
 
2010
MEW 설립
(사출성형설비개발제조)



2011 - 2015
2011
전자부품 사업시작

2012
해외영업 시작
서울반도체 협력사 등록
시화3공장 설립
(WHITE-EMC 사업 시작)

2013
TS 19694 인증취득

2014
Camera module 부품사업 시작


2016 - 2020 
‌2018
‌IATF 16949 인증취득
‌Polimer Battery 금형사업 시작
‌베트남 현지법인 설립
‌(JUNGJIN-VINA)

‌2019
‌Camera module 부품 해외사업 
시작

‌​2020
​ISO 45001 인증취득
‌‌



KakaoTalk_20250821_175829595.jpg
2021 - 2025

2021 
4공장설립

2022  
자동차 부품 개발

2024
현대모비스 협력사 등록

2025 
한창이지엠  협력사등록





제조공정

‌오산 / 평택 1공장 / 평택 2공장 / 시화 3공장
STAMPING

 

PLATING

 

INJECTION MOLDING

 

TRANSFER MOLDING

 

TRIM & FOAMING

 

INSPECTION

 

TOOL SHOP

AUTOMATION

ETC

LED 사업부 및 제품 소개

AUTOMOTIVE

DISPLAY & MOBILE

LIGHTING

ETC

부품 사업부 및 제품 소개

금형 사업부 및 제품 소개

  • ESG경영 전략체계
  • 환경경영
  • 안전보건경영
  • 준법경영


20250813_153745.png




지속가능한기업과 사회를 만들기 위해 환경경영 시스템인 ISO14001을 구축 지속적인  오염물질 감축 자원의 재활용 등을 주요 목표로 
지속적인 개선을 통하여 조직전반에 수행하고 있음
doc06106620250814155437_1.jpgdoc06106720250814155450_1.jpg




체계적인 안전보건 계획수립,실행,점검, 조치 등을 통해 모든 활동이 표준하된 프로세스에 따라 이우어지도록 하고있고 전과정에서
  근로자의 적극적인 참여 확대하여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고 아차사고 발굴을 통하여  지속적인 안전보건 활동을 통해 안전하고 쾌적한
사업장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doc06106820250814161838_1.jpgdoc06106820250814161838_2.jpg




기업 활동에 있어 공정하고 투명한 정도 경영과 윤리경영을 확립하고 이를 더욱 확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윤리강령_1.jpg인권경영헌장_1.jpg




  • 이사회구성
  • 분쟁광물
  • 고충처리
  • 제보

이​사회구성
성명선임일구분비고
김용담2015.3.31대표이사이사회 의장
진범준2015.3.31
부사장
허영행2015.3.31
부사장
박성철2015.3.31
전무이사

이사회규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규정은 이사회의 효육적인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한다.
                                                                              
                              제2조(적용범위)
                               이사회에 관한 사항은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것 이외에는 이 규정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제3조 (권한)
                               이사회는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회사운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경한다.
                               이사회는 이사의 직무집행을 감독한다.
                                                                            ​
                              제4조(책임)
                                이사가 법령 또는 전관에 위반하는 행위를 하거나 그 임무를 해태한 때에는 그 이사는 회사에 대하여 연대하여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씨다.
                                이사가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하여 그임무를 해태한 때에는 그 이사는 제3자에 대하여 연대하여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제2장 구성
                               
                               제5조 (구성)
                                 이사회는 이사전원 으로 구성한다.
                                                                           
                               제6조(의장)
                                 이사회의 의장은 이사회 결의로 정한다 다만 제8조 제1항 단서에 따라서 이사회의 소집권자를 달리 정하는 경우에는 그이사를 의장으로 한다.
                                 이사회 의장이 유고로 인하여 의장의 직무를 행할수 없을때에는 다음 연장자 순으로 그 직무를 대행한다.

                                제3장 회의
                                
                                제7조 (종류)
                                   이사회는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로 한다.
                                   정기 이사회는 매 분기 1회 개최한다.
                                   임시이사회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개최한다.
                                                                          ​
                                제8조(소집권자)
                                   이사회는 각 이사가 소집한다. 단 이사회의 결의로 소집권자를 달리 정한 경우 그러하지 안니한다.
                                   전항 단서의 경우, 소집권자가 유고로 인하여 회의를 소집할수 없을때에는 제6조 제2항에 정한 순으로 그직무를 대행한다.
                                   제1항에 단서에 의하여 소집권자로 지정되지않은 다른 이사는 이사회 결의로 정한 소집권자에게 의안과 그사유를 밝히어 이사회의 소집응 요구할 수 있다. 
                                   이사회의 결 의로 정한 소집권자가 정당한 사유없이 이사회의 소집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소집을 요구한 이사가 이사회를 소집할수 있다 .
                                                                            
                                제9조 (소집절차)
                                   이사회를 소집하는 이사는 이사회 회일을 정하고 그 7일전에 각 이사에 대하여 소집통지 하여야 한다.
                                   이사회는 이사 전원의 동의가 있는 때에는 제1항의 절차없이 언제든지 소집할수 있다
                                                                           
                                제10조 (결의방법)
                                    이사회의 결의는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 과반수로 한다.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이사가 음성을 송수신하는 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당                                                                               해 이사는 직접 출석한 것으로 본다.
                                    이사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이사는 결의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행사할수 없는 의결권의 수는 출석한 이사의 의결권의 수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제11조(부의사항)
                                    이사회에 부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주주총회에 관한 사항
                                    주주총회의소집
                                    전자적 방법에의한 의결권 행사 허용
                                    영업보고서 승인
                                    재무재표의 승인
                                    주주총회에 부의할 의안
                                    이사회 업무분장 및 보직 등에 관한 사항
                                    대표이사선임
                                    각이사의 업무분장
                                    공동대표이사의결정
                                    이사회 내 위원회설치 운영및폐지
                                    이사회 내 위원회 위원의 선입 또는 해임
                                    이사회 내 위원회의 결의사항에 대한 재의결
                                    준법지원인의 선임 및 해임
                                    재무에 관한 사항
                                    자본금 100분의10이상의 타법인 출자 및 처분
                                    자산총액의1000분의15이상의 자산의 취득 및 처분
                                    자본금 100분의20이상의 시설투자
                                    신주의발행 및 준비금의 자본전입
                                    타인을 위한 단보제공 및 보증행위의 한도설정
                                    외화차입
                                    자기주식의 소각
                                    경영에 관한 사항
                                    회사경영의 기본방침의 결정 및 변경
                                    중요한 계약의 체결
                                    년간사업계획의 확정
                                    제반 법적 조치에 관한사항
                                    주주총회에서 위임 받은 사항
                                    법령 또는 정관을 정하는 사항
                                    기본조직의 제정과개폐
                                    중요한사규 사칙의 수정 및 개폐
                                    공장이전 및 폐지
                                    임직원의 선임 및 해임
                                    기부금집행
                                    기타 대표이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한는 사항
                                    기타 관계법령에 따라 이사회의 결의가 필요한 사항


                                     이사회 보고사항은 다음과같다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
                                     기타 경영상 중요한 업무집행에 관한 사항
 
                                  제12조(이사에 대한 직무집행 감독권)
                                      이사회는 각 이사가 담담업무를 집행함에 있어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하거나 현저히 부당한 방법으로 처리하거나 할 염려가 있다고 인정한 때에는 
                                      그이사에 대하여 관련자료의 제출,조사 및 설명을 요구할 수 있다.
 
                                   제13조(의사록)
                                       이사회의 의사에 관하여는 의사록을 작성한다.
                                       의사록에는 의사의 경과요령과 그결과를 기재하고 출석한 이사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야 한다.
                                       의사록은 본사에 비치한다.
                                       의사록의 사본을 10일이내에 각 이사에게 송부하여야한다
 
                                    제14조(간사)
                                         이사회에 간사를 둔다
                                         간사는 관리부에서 담당하며 의장의 지시에 따라 이사회 사무를 담당한다.
 
                                                                        부칙 (시행일) 본규정은 2024.1.1 시행한다
 
 
 
 


분쟁광물정책
 
(주)정진넥스텍은 자사에서 생산되는 모든 부품 및 제품에서 분쟁광물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구매 단계에서부터 분쟁광물의 사용이 배제되도록 하고 있습니다.
                            자사 공급망에서 “3TG”(Tantalum(탄탈륨), Tungsten(텅스텐), Tin(주석), Gold(금)) 광물이 포함된 원재료 및 부품 등이 입고되는 경우, 공급업체로부터 원산지를 증빙할 수 있는                                                          자료를 함께 제출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분쟁광물 사용금지 정책에 적극 동참하고 있습니다.
 
                       1. 분쟁광물(Conflict Minerals)의 정의
                           분쟁광물은 아프리카 등지에서 무력충돌과 각종 범죄 등이 동원되어 생산되는 천연광물을 말합니다. 주로 콩고민주공화국과 우간다 및 그 주변국(콩고공화국,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남수단, 르완다, 부룬디, 탄자니아, 잠비아, 앙골라)에서 생산되는 광물로 탄탈륨(Tantalum), 텅스텐(Tungsten), 주석(Tin), 금(Gold) 4가지를 의미하며, 이 네 가지 광물은                                                                       “The 3T’s and Gold” 혹은 “3TG”라고 부릅니다.
 
                      2. 분쟁광물의 지정 목적
                         분쟁광물을 지정하는 이유는 이 광물들을 채굴하는 과정에서 많은 무력충돌 또는 인권유린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채굴을 통해 만들어진 이익이 범죄조직, 테러리스트들에게 들어가 또                                                      다른 범죄를  양산 하는데 활용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미국은 도드-프랭크법(Dodd Frank Act), 유럽은 OECD 기본체계에 따라 해당 광물을 수입하는 기업들이 원산지 표기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이들 기업에 제품/부품을 공급하는 국내업체들도 이 규제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3. 분쟁광물 대응
                        (주)정진넥스텍은 자사에서 생산되는 모든 제품 및 부품에서 분쟁광물의 사용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3TG”(탄탈룸(Tantalum), 텅스텐(Tungsten), 주석(Tin), 금(Gold))                                                               광물이 포함된 원재료 및 부품을 공급받을 경우, 공급업체로부터 원산지를 증빙할 수 있는 자료 및 분쟁광물 미사용 확약서를 함께 제출하도록 함으로써 원재료의 구매 단계에서부터                                                        분쟁광물 사용이 배제되도록 지속적이고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있습니다.

분쟁광물.jpg





고충처리규정



                 제1조 (목적)

본 규정은 주식회사 정진넥스텍(이하 "회사"라 한다)의 임직원이 업무 수행 또는 직장생활 중 겪는 고충, 인권침해, 부당한 대우 등에 대하여 공정하고 신속하게 처리함으로써 건강하고 신뢰받는 조직문화를 조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적용범위)
                본 규정은 회사의 모든 임직원에게 적용되며, 고충 발생 시 성별, 국적, 직급, 고용형태에 관계없이 동등하게 보호된다.

                제3조 (고충의 정의)
                "고충"이란 직무환경, 인사, 복무, 임금, 차별, 성희롱, 괴롭힘, 인권침해 등으로 인해 임직원이 정신적, 물리적, 직업적 불이익을 받았거나 받을 우려가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제4조 (고충 처리 절차 및 일정)
                 ① 고충처리는 다음의 단계로 진행되며, 각 단계별 소요시간을 준수한다.
                      제보/접수 (신고서 또는 익명 포털 등) [D+0일]
                      1차 사실 확인 및 조사 착수 [D+2일 이내]
                      면담 또는 심층 조사 실시 [D+7일 이내]
                      처리 결과 통지 [D+14일 이내]
               ② 사안의 경중에 따라 일정은 변경될 수 있으며, 연장 사유는 고충신고자에게 서면 또는 이메일로 통지한다.
              
               제5조 (신고자 보호 및 신원 비밀보장)
                  ① 고충 신고자는 실명 또는 익명으로 신고할 수 있으며, 실명 신고 시에도 신원은 철저히 비밀로 보장한다.
                  ② 고충 관련 문서, 기록, 진술 등은 개인정보 보호 및 인사기록 보안 절차에 따라 분리·보관한다.

               제6조 (보복 금지 및 불이익 방지)
                 ① 고충을 제기한 임직원에게 불이익 조치(인사상 불이익, 차별, 따돌림 등)를 가하는 것을 엄격히 금지한다.
                 ② 보복행위가 확인될 경우, 징계위원회를 통해 엄정하게 조치한다.
            
               제7조 (이의 제기 및 재심 절차)
                 ① 고충 처리 결과에 대해 신고자는 이의 제기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충심의위원회를 통해 재심 절차를 개시한다.
                 ② 재심 결과는 최대 14일 이내 통보되어야 하며, 동일 사안에 대한 이의제기는 1회에 한한다.

               제8조 (익명 접수 및 외국인 근로자 보호)
                 ① 고충은 웹포털, 이메일, 제보함 등을 통한 익명 접수 기능을 제공한다.
                 ② 외국인 근로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주요 고충 처리 절차는 영어, 중국어 등 다국어로 제공하며, 외국인 근로자 존재 시 반드시 이수 교육을 실시한다.

               제9조 (고충처리 위원회 구성 및 운영)
                 ① 회사는 고충 사안의 공정한 심의를 위해 고충처리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으며, 위원장은 인사부서장이 맡는다.
                 ② 고충 사안은 경중에 따라 자체 처리 또는 위원회 상정으로 구분하여 처리한다.

              제10조 (효과성 평가 및 제도 개선)
                 ① 고충 처리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연 1회 이상 운영성과 및 재발방지율을 평가한다.
                 ② 필요 시 외부 전문가의 컨설팅을 통해 제도 개선을 추진할 수 있다.

              제11조 (인권/노동 침해 사안에 대한 특별 절차)
                 ① 인권 또는 노동권 침해가 발생한 경우, 별도의 피해자 보호 매뉴얼에 따라 즉시 분리 보호 조치를 시행한다.
                 ② 진술 보장, 2차 피해 방지, 가해자에 대한 징계 조치 등의 절차를 포함한 대응 매뉴얼을 별도로 보유한다.

             제12조 (기록 보관 및 사후관리)
                ① 고충 처리 관련 문서, 기록, 조사 결과, 조치 내역은 5년간 보관한다.
                ② 반복적으로 고충이 제기된 항목에 대해서는 정기 감사대상으로 분류한다.
             
                                                                                                              피해자 보호 매뉴얼
 
              제1조 (목적)
                 본 매뉴얼은 인권 또는 노동권 침해 행위 발생 시 피해자의 신속하고 실질적인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사항 및 절차를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적용대상)
                 본 매뉴얼은 회사 내 모든 임직원을 포함하며, 피해자뿐만 아니라 제3자 고발에 의한 피해사례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3조 (보호 원칙)
               ① 피해자의 존엄과 인권을 최우선으로 하며, 2차 피해 방지를 원칙으로 한다.
               ② 피해자의 진술 기회, 의견 개진권, 사생활 보호를 철저히 보장한다.
        
             제4조 (초동 대응 절차)
               ① 피해자 또는 제보자의 고충 접수 즉시 인사부서 및 감사실은 사건의 성격과 심각성을 검토한다.
               ② 피해자는 가해자와 즉시 분리되며, 필요 시 업무공간 변경, 재택근무 조치, 유급 보호휴가 등이 제공된다.

            제5조 (진술 및 조사 보장)
              ① 피해자는 지정된 조사 담당자(동성 또는 희망 지정자 포함)와 1:1 진술 기회를 제공받는다.
              ② 진술 과정은 녹취 또는 문서화하며, 피해자의 동의 없이는 외부 공개 불가하다.
        
            제6조 (2차 피해 예방 조치)
             ① 회사는 피해자에 대한 명예훼손, 불이익 인사, 직장 내 따돌림 등의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다음 조치를 시행한다.
                  사건 관련자에 대한 보안서약 및 정보접근 제한
                  사내 소문 차단 및 유언비어 유포 방지 공지
                  피해자 보호조치 이행 점검

            제7조 (전문기관 연계 )
              ① 필요 시 외부 심리상담기관, 노무법률 전문가, 공인노무사 등과 연계한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제8조 (징계 및 후속조치)
              ① 조사 결과 가해자의 책임이 명확할 경우, 인사위원회를 통한 징계(견책~해고)를 시행한다.
              ② 피해자의 업무복귀가 어려운 경우, 부서 이동 또는 전환배치를 검토한다.
              ③ 유사 사건 재발 방지를 위한 교육 및 제도 개선을 실시한다.

           제9조 (사후관리 및 재평가)
             ① 피해자에 대한 보호조치는 최소 6개월 이상 유지하며, 필요 시 연장한다.
             ② 사건 처리 종료 후 1개월, 3개월, 6개월 시점에 피해자와 면담하여 후속 상태를 점검한다.
             ③ 재피해 발생 시 즉시 재조사 및 보강조치를 시행한다.

           제10조 (기록관리)
              ① 사건 관련 모든 자료는 별도 보안폴더에 5년간 보관한다.
              ② 접근은 감사실 및 대표이사 승인 하의 지정자에 한정한다.


doc06107020250814171807_1.jpg
doc06107020250814171807_2.jpg


CONTACT

Address : ‌오산시 가장산업동로 28-62 주식회사 정진넥스텍 오산공장
Tel : 82-31-374-4200    Fax : 82-31-374-4248   E-mail : jungjinnextech@jungjin-nextech.com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 약관 보기

Send message